Site icon 지피디아

구글 광고 손상된 사이트 원인 및 해결 방법

구글 광고 손상된 사이트 원인 및 해결 방법

구글 광고(Google Ads)를 운영하다 보면 ‘손상된 사이트(Damaged Site)’ 경고를 마주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문제는 광고 게재를 중단시킬 뿐만 아니라 사이트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손상된 사이트 경고의 주요 원인과 효과적인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해결 방법 요약

  1. 광고 셋팅 문제가 아닌 우리 사이트의 문제임을 인식
  2. 우리 사이트 내에 어떤 링크가 문제인지 고객센터에 문의
  3. 확인된 링크 삭제 후 광고 재집행

구글 광고 ‘손상된 사이트’ 경고란?

구글은 사용자 보호를 위해 웹사이트의 안전성을 엄격하게 검사합니다.

‘손상된 사이트’ 경고는 구글이 귀하의 웹사이트에서 잠재적인 보안 문제나 악성 콘텐츠를 감지했을 때 표시됩니다.

이런 상태로는 광고가 정상적으로 게재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는 사이트의 평판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칩니다.

여기서 악성 콘텐츠란 무엇을 말하는 걸까요? 성인용, 도박과 같은 콘텐츠만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 “우리 사이트에 악성 콘텐츠가 없는데 왜 자꾸 비승인이지?” 라는 생각이 드실 겁니다.

구글에서는 외부로만 연결되는 사이트들을 싫어합니다.

콘텐츠 없이 외부 내용을 인용하고 외부 링크만 달려있으면 악성 콘텐츠에 해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즉, 손상된 사이트의 주요 원인이 이미지나 글을 가져올 때 링크를 함께 가져왔기 때문입니다.

주요 원인: 외부 사이트 참조(하이퍼링크 및 API 연동)

손상된 사이트로 분류되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는 외부 사이트의 콘텐츠를 참조하거나 API를 통해 가져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

  1. 외부 사이트 링크 참조: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나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사이트로의 링크
  2. API를 통한 콘텐츠 로드: 외부 기사나 콘텐츠를 API로 가져올 때 예상치 못한 이미지 경로 문제
  3. iframe을 통한 외부 콘텐츠 임베딩: 신뢰할 수 없거나 보안 취약점이 있는 외부 콘텐츠

특히 API를 통해 뉴스 기사나 콘텐츠를 가져오는 경우, 이미지 경로가 예상치 못한 형태로 구성되어 보안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이미지들은 때로는 악성코드를 포함하거나, 구글의 보안 정책에 위배되는 사이트를 참조할 수 있습니다.

손상된 사이트 원인 파악 사례

이러한 외부 링크는 구글의 보안 정책상 문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신뢰할 수 없는 도메인이나 보안상 취약한 링크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광고 승인에 영향

효과적인 해결 방법

1. 문제 링크 정확히 식별하기

첫 번째 단계는 웹사이트 내에서 문제가 되는 링크나 참조를 찾는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구글에 직접 문의하는 것입니다.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어떤 링크가 문제인지 파악해야합니다.

2. 홈페이지 내 문제 콘텐츠 제거

중요: 구글 애즈에서만 설정을 변경하는 것으로는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습니다.

반드시 홈페이지 자체에서 문제 요소를 제거해야 합니다:

  1. 문제가 되는 링크 삭제: 손상되었거나 의심스러운 외부 링크 제거
  2. API 연동 코드 수정: 이미지 경로가 안전한 출처에서만 로드되도록 코드 수정
  3. 이미지 프록시 서버 활용: 외부 이미지를 직접 참조하지 않고 자체 서버를 통해 필터링하여 제공

위에서 고객센터를 통해 확인된 링크가 있는 글 자체를 삭제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3. API 연동 시 안전 조치

API를 통해 콘텐츠를 가져오는 경우, 다음과 같은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javascriptCopy// 예시: API로 가져온 이미지 경로 검증 및 필터링
function validateImageUrl(url) {
  // 허용된 도메인만 통과시키는 로직
  const allowedDomains = ['trusted-domain.com', 'safe-images.com'];
  try {
    const imageUrlObj = new URL(url);
    return allowedDomains.includes(imageUrlObj.hostname);
  } catch (e) {
    return false; // 잘못된 URL 형식은 차단
  }
}

// API 응답 처리 시
apiResponse.articles.forEach(article => {
  // 안전하지 않은 이미지는 기본 이미지로 대체
  if (!validateImageUrl(article.imageUrl)) {
    article.imageUrl = '/path/to/default-safe-image.jpg';
  }
});

4. 정기적인 웹사이트 스캔

문제 해결 후에도 정기적으로 웹사이트를 스캔하여 새로운 보안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문제 해결 후 구글 재검토 요청

홈페이지에서 모든 문제를 해결한 후에는 구글에 재검토를 요청해야 합니다:

  1. 구글 서치 콘솔 접속: 보안 이슈 섹션으로 이동
  2. 문제 해결 확인: ‘해결됨으로 표시’ 옵션 선택
  3. 재검토 요청: 구글에 웹사이트 재검사 요청
  4. 구글 애즈 계정에서도 재검토 요청: 정책 위반 섹션에서 해결 후 재검토 요청

결론

구글 광고의 ‘손상된 사이트’ 경고는 대부분 외부 사이트 참조나 API 연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문제는 홈페이지 자체에서 문제가 되는 콘텐츠를 찾아 제거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특히 API를 통해 콘텐츠를 가져올 때는 이미지 경로와 같은 예상치 못한 보안 취약점에 주의해야 합니다.

문제 해결 후 구글에 재검토를 요청하면, 일반적으로 24-48시간 내에 광고 게재가 다시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보안 점검을 통해 이러한 문제가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Exit mobile ver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