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용어] 그로스 해커란? 그로스 pm과의 차이는?

💡 그로스 해킹(Growth Hacking)의 유래

“그로스 해킹”이라는 용어는 2010년 드롭박스(Dropbox)의 성장에 기여했던 션 엘리스(Sean Ellis)가 자신의 블로그 포스팅에서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그로스(Growth)’는 성장을 의미합니다.
  • ‘해킹(Hacking)’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보안 시스템을 침입하는 행위로 알려져 있지만, 여기서는 창의적이고 비전통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거나 최적의 효과를 이끌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마치 ‘라이프 핵(Life Hack)’처럼요.)

션 엘리스는 당시 실리콘밸리 스타트업들이 단기적인 광고나 홍보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으로는 빠르고 지속적인 성장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그는 오로지 성장(Growth)만을 목표로, 데이터 분석, 실험, 제품 개선 등을 포함하여 가능한 모든 수단과 창의적인 방법을 동원하는 사람, 즉 “그로스 해커(Growth Hacker)”라는 직무를 정의했습니다.

이처럼 ‘성장’을 ‘해킹’하듯이, 즉 데이터 기반의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제품/서비스의 성장을 극대화하는 방법론을 그로스 해킹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 그로스 해킹, 그로스 마케팅, 그로스 PM의 차이

이 세 용어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그로스 해킹은 방법론, 마케팅은 영역, PM은 직무에 가깝습니다.

구분그로스 해킹 (Growth Hacking)그로스 마케팅 (Growth Marketing)그로스 PM (Growth Product Manager)
개념성장 방법론/사고방식성장 중심의 마케팅 영역성장 중심의 제품 책임자
초점제품/서비스의 전 과정(AARRR 퍼널 전체)에서 데이터 기반의 창의적인 실험을 통해 성장을 급진적으로 가속화하는 것.마케팅 채널뿐 아니라 제품/서비스 경험 전반에서 고객 확보, 활성화, 유지 등 성장 지표를 개선하는 데 초점을 둔 마케팅 활동.제품의 성장 목표 달성을 위해 제품 전략 수립, 기능 개선, 우선순위 결정, 실험 주도 등을 담당하는 직무.
범위가장 광범위하며, 제품 개발, 마케팅, 데이터 분석 등을 아우르는 전략적 접근 방식입니다.그로스 해킹 방법론을 마케팅 영역에 적용한 형태입니다. 전통 마케팅보다 제품과 데이터에 더 깊이 관여합니다.제품 관점에서 성장을 주도하며, 그로스 해킹 방법론을 주로 활용하는 팀의 리더 역할입니다.
핵심실험(Experimentation)과 제품 관여(Product Involvement)데이터 기반 마케팅 채널 및 퍼널 최적화제품 중심의 성장 전략 수립 및 실행 주도

션 엘리스는 누구인가?

  • ‘그로스 해킹의 아버지’: 2010년에 블로그 포스팅을 통해 ‘그로스 해커(Growth Hacker)’라는 용어를 처음 만들었습니다.
  • 실리콘밸리의 전설적인 성장 전문가: 드롭박스(Dropbox)의 첫 마케터로서 사용자를 1,000% 이상 폭발적으로 성장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이벤트브라이트(Eventbrite), 로그미인(LogMeIn), 룩아웃(Lookout) 등 여러 회사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업으로 키워냈습니다.
  • 저술가 및 창업가: 저서로 『진화된 마케팅, 그로스 해킹』(Hacking Growth)이 있으며, 현재는 그로스 전문가 커뮤니티인 GrowthHackers.com의 설립자이자 CEO입니다.

2. 왜 이런 말을 만든 걸까? (용어 창시 이유)

션 엘리스가 ‘그로스 해킹’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든 핵심적인 이유는 기존 마케팅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장에 초점을 맞춘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정의하기 위함이었습니다.

① 전통적인 마케팅과의 차별화

  • 그는 스타트업이 전통적인 마케팅(브랜딩, 광고, 홍보 등)에 의존하기보다, 제품 자체를 개선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측정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성장에 집중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 기존 마케터들이 주로 ‘고객 확보(Acquisition)’에 초점을 맞춘 반면, 션 엘리스는 고객이 제품을 발견하는 순간부터 활성화(Activation), 유지(Retention), 추천(Referral), 수익화(Revenue)에 이르는 전체 고객 여정(AARRR 퍼널)에 걸쳐 성장을 이끌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② 성과 중심의 직무 정의

  • 그는 스타트업의 초기에 필요한 인재는 단순한 ‘마케터’가 아니라, 오로지 성장만을 목표(True North is Growth)로 하고, 성과에 잠재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모든 요소를 면밀히 조사하는 ‘성장 해커’가 필요하다고 정의했습니다.
  • 이들은 기술적인 이해(해킹)와 창의성을 바탕으로,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빠른 성장을 이끌어내는 데 집중합니다.

즉, 션 엘리스는 데이터와 실험을 통해 제품과 마케팅의 경계를 넘나들며 성장을 ‘해킹’하는 새로운 방법론과 그 인재상을 세상에 알리기 위해 이 용어를 창시했습니다.

위로 스크롤